디딤소식

성인 ADHD

성장의 ‘디딤돌’이 되겠습니다!
이제, 여러분의 마음 고민은
디딤네트워크 클리닉과 함께해 보세요.

성인기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
Attention-Deficit/Hyperactivity Disorder

ADHD 는 발달기에 시작되는 신경발달장애 중 하나로 어린 시기부터 여러 가지 증상들을 경험하게 됩니다.
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주의집중의 어려움과 산만하고 충동적인 행동이며, 그로 인해 학습, 또래관계, 학교 적응에서
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. 어린 시기에 증상을 잘 알아차리지 못하고 성인이 되거나,
과거부터 자신의 증상을 인식한 채로 지내올 수 있으나, 어떤 경우이든 주변사람들로부터
“멍하고 부주의하다”, “산만하다”, “가만히 있지 못한다” 등의 이야기를 자주 듣게 됩니다.
과잉행동은 초기 청소년기를 지나면서 상대적으로 안정되는 경향이 있지만, 부주의하고 계획성이 부족한 면,
충동적인 면은 성인기까지 지속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꾸준한 치료적 개입과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장애입니다.
무엇보다 ADHD 는 치료 받지 않고 방치할 경우 잦은 실수와 비효율적인 업무 처리로
대인관계나 직장생활에서의 부적응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.
[부주의] 영역과 [과잉행동-충동성] 영역에서 6개 이상의 증상에 해당할 경우 ADHD 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.

부주의 영역

  • 세부적인 면에 면밀한 주의를 기울이지
    못하거나 부주의한 실수를 저지름
  • 지속적인 주의 집중의 어려움
  • 다른 사람의 말을 경청하지 않음
  • 임무를 완수하지 못함
  • 과제와 활동의 체계화하지 못함
  • 조용하고 지루한 활동을 싫어함
  • 중요한 물건들을 자주 잃어버림
  • 외부 자극에 쉽게 산만해짐
  • 중요한 해야 할 일을 잊어버림

과잉행동-충동성

  • 가만히 있지 못하고 부산스러움
  • 꾸준히 앉아있지 못함
  • 지나치게 산만하고 활동적임
  • 조용한 여가 활동에 참여하지 못함
  • 에너지가 넘치게 활동적임
  • 지나치게 수다스러움
  • 질문이 끝나기 전에 성급하게 대답함
  • 자신의 차례를 기다리는 것이 어려움
  • 다른 사람의 활동을 방해하거나 침해함

ADHD의 원인

ADHD 는 유전성이 높은 편이어서, 생물학적 일차 친족에게서 흔히 발견됩니다.
중추신경계에서 주의 집중 능력을 관장하는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며, 실행기능을 통제하는
전두엽의 기능저하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그 외 기질적, 환경적인 요인들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의해
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ADHD 는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심리적인 문제가 아니고 생물학적, 유전적인 요인에 의한
장애이기 때문에 발견 이후에는 꾸준한 치료적 개입과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.

ADHD의 평가 및 진단

STEP 01

전문의 면담

설문지 작성

STEP 02

종합심리검사

지능검사, 신경심리검사, 투사검사

STEP 03

치료 계획 수립

ADHD의 치료

약물치료

ADHD 는 약물치료가 효과적입니다. 부주의함, 충동성 등의 증상을 완화하여
직장생활과 대인관계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만족스러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

img-fluid심리치료

증상으로 인한 심리적인 압박과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대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