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황장애
Panic Disorder

예기치 못한 공황발작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장애를 말합니다. 평균 발병 연령은 20~24세로 젊은 연령층에서
흔한 장애이지만 일부에는 아동기나 45세 이상에서 발병하기도 합니다. 치료 받지 않는다면 대개 만성적인 경과를 밟게 되고, 한번 증상을 경험한 뒤에는 언제 또 공황발작이 일어날지 모른다는 생각에 늘 불안하고 초조한 기분이 들 수 있습니다. 심한 경우 혼자 외출하지 못하고 여러 사람이 있는 곳을 피하게 되는 광장공포증을 동반하게 될 수 있습니다. 다음 중 4가지 이상의 증상을 경험한 경우 공황장애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.- 가슴 두근거림
- 발한
- 몸이 떨리거나 후들거림
- 가쁘거나 답답한 느낌
- 질식할 것 같은 느낌
- 흉통 또는 가슴 불편감
- 메스꺼움 또는 복부 불편감
- 어지럽거나 불안정한 느낌
- 춥거나 화끈거리는 느낌
- 감각이상
- 비현실감
- 미칠 거 같은 두려움
- 죽을 거 같은 공포
공황장애의 원인
교감신경계의 주요 신경전달물질인 노에피네프린을 분비하는 청반핵의 이상이 주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.
부정적인 정서를 더 잘 느끼고, 불안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성향도 위험 요인 중 하나이고, 스트레스와 흡연도 공황 발작을 악화할 수 있으니 되도록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.공황장애의 평가 및 진단
STEP 01
전문의 면담
설문지 작성STEP 02
종합심리검사
지능검사, 투사검사STEP 03
치료 계획 수립
공황장애의 치료
약물치료
약물치료를 통해 증상을 호전 시킬 수 있습니다.
약물치료 효과가 나타나려면 수주의 시간이 걸릴 수 있으니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꾸준히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.
심리치료
공황장애는 스트레스로 인해 악화되는 경우가 흔합니다.
개인에게 적절한 치료적 기법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